등하원도우미 면접질문 리스트

반응형

마치 결혼 전에 시댁 인사 가는 기분이랄까? 아이랑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순간을 함께할 분이니 질문 하나하나가 신중해지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실제로 준비해갔던 등하원도우미 면접 질문 리스트를 공유해드릴게요. 그냥 "잘 부탁드려요~" 하고 넘기기엔,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진짜 곤란하거든요. 이거 체크리스트처럼 챙겨가시면 마음이 한결 편해질 거예요.

기본 신원과 경력 확인 질문

  • 아이 돌봄 경험이 몇 년 정도 있으신가요?
  • 보통 몇 세 아이들을 돌봐보셨나요?
  • 이전에 등하원 도우미 경험도 있으신가요?
  • 자녀가 있으신가요? 있다면 몇 살인가요?
  • 현재 다른 집 아이도 함께 돌보고 계신가요?

👉 이 질문들은 신뢰도와 안정성을 확인하는 기본이에요. 경력이 많다고 꼭 좋은 건 아니지만, 최소한 비슷한 연령대 아이 돌봄 경험이 있으면 훨씬 안심돼요.


이동 방법과 안전 관련 질문

  • 아이를 어떻게 데려다주실 계획인가요? (도보, 버스, 자차 등)
  • 자차 이용 시 자동차 보험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 도보나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을 위해 어떤 점을 주의하시나요?
  • 비 오는 날이나 폭설 같은 악천후에는 어떻게 하실 건가요?
  • 갑자기 아이가 길에서 떼쓰거나 도망치려 할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 특히 자차 이용 시 보험 확인은 필수예요. 안전 관련 질문에서 얼마나 구체적으로 답하는지가 선생님 성향을 알 수 있는 포인트예요.


아이 돌봄 태도 확인 질문

  • 아이가 갑자기 울거나 안 가려고 하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 아이가 배고프다고 하거나 화장실 가고 싶다고 하면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 다른 아이랑 다툼이 생기면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 아이와 신뢰를 쌓기 위해 보통 어떻게 접근하시나요?
  • 아이가 엄마를 찾으며 심하게 울면 어떤 말을 해주시나요?

👉 저는 실제로 이 질문에서 선생님의 따뜻함을 많이 느꼈어요. 그냥 "잘 달래요"보다는, "아기 눈높이에 맞춰서 천천히 설명해요" 같은 답변을 해주시면 훨씬 신뢰가 갔거든요.


응급 상황과 책임감 확인 질문

  • 아이가 갑자기 아프거나 토하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 긴급 상황 시 보호자와 어떻게 연락하시나요?
  • 응급실이나 병원에 가야 할 상황이면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 본인 스케줄이 갑자기 안 될 경우 대체 방안을 어떻게 하실 건가요?

👉 "혹시 갑자기 못 오시면 어떻게 되나요?" 이 질문 꼭 해보세요. 저는 한 번 대답을 얼버무리는 분을 만나서, 결국 계약 안 했어요. 책임감 있는 분은 대체 인력 연결이나 사전 통보에 대해 분명히 말해주십니다.


계약 조건과 커뮤니케이션 질문

  • 근무 가능 요일과 시간은 어떻게 되시나요?
  • 시급/월급 협의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휴일·방학 기간에는 어떻게 조율하시나요?
  • 보호자와의 연락 방식은 주로 어떤 걸 선호하시나요? (전화, 문자, 카톡 등)
  • 추가 요청 사항(예: 집 앞에서 잠깐 기다려주기, 가방 챙겨주기) 가능하신가요?

👉 이런 부분은 나중에 분쟁이 생길 수 있는 포인트라 미리 조율하는 게 좋아요. 저는 "연락은 카톡 대신 꼭 전화로"라고 정해두었더니 오해가 없어서 좋았어요.


마무리하며

등하원도우미 면접은 사실 형식적인 자리 같지만, 진짜 중요한 건 내 아이와의 첫 만남이에요. 그래서 저는 아이를 꼭 같이 데려가서 짧게라도 얼굴을 트게 했어요. 그때 아이가 선생님 품에 안겨도 편안해하는지, 아니면 긴장하는지 보니까 선택이 훨씬 쉬워지더라구요.

우리 엄마들도 준비된 질문지 챙겨가셔서 마음 편히 면접 보시고, 아이에게 좋은 선생님 만나게 해주세요. 엄마 마음은 늘 "안전 + 신뢰 + 따뜻함"이잖아요.


Q&A

Q. 꼭 면접을 대면으로 봐야 하나요?
A. 가능하면 대면이 좋아요. 아이와의 케미를 직접 보는 게 중요해요. 단, 첫 상담은 전화/화상으로 하고, 최종 확인은 대면으로 추천해요.

Q. 면접 때 아이를 꼭 데려가야 할까요?
A. 가능하다면 데려가는 게 좋아요. 아이 반응을 보면 선생님 성향을 더 잘 알 수 있어요.

Q. 질문이 너무 많으면 부담스럽지 않을까요?
A. 한 번에 다 묻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대화처럼 풀어나가면 좋아요. 핵심 질문만 정리해두고, 나머지는 이야기를 이어가며 물어보면 됩니다.

반응형